[07] 공유폴더 권한, 파일 서비스 - 할당량

|


- 2015.01.13


실습은 Network - Host Only 로 진행



1. 공유폴더 권한


공유폴더 공유 권한에 '읽기'만 주면 쓰기, 수정, 삭제가 되지 않는다.

공유폴더의 속성 - 보안 탭에서 사용자별 권한 설정을 할 수 있다.





2. 파일 서비스


[파일 서비스 역할 추가]


서버관리자 - 역할 - 역할 추가 진행.

역할 서비스 중 파일 서버 리소스 관리자 추가 설치

저장소 모니터링은 관리할 드라이브 선택하지 않고 진행

- 공유 폴더를 지정했었다면 파일 서비스의 일부를 자동으로 설치되며,

  공유 및 저장소 관리(시작에서 검색) 에서 공유폴더를 중지하면 설치된 역할이 제거된다.

  (이름 뒤에 $ 붙은 것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지하면 안된다.)



[할당량 설정]


시작 - 관리 - 파일 서버 리소스 관리자

- 할댱량 관리 - 할당량(공유한 영역 중 일부의 영역만 할당 해주는 기능) - 할당량 만들기 - 사용자 지정 할당량 속성 정의

         - 공간제한 - 하드 할당량

         - 알림 임계값 - 추가 - 보고서 - 보고서 생성 - 할당량 사용 현황 보고서 체크

선택한 디렉터리를 공유


이제 클라이언트는 관리자가 설정한 용량 이상을 사용한다면 할당량 사용 현황 보고서가 작성된다.

(보고서 위치 : c:\StorageReports\Incident)

공간 제한에 하드 하드 할당량을 설정하면 제한된 용량 이상을 사용이 거부하며,

소프트 할당량을 지정하면 관리자에게 알림은 가지만 계속해서 사용 가능하다.



[할당량 문제]


# 계정 생성 : 이부장, 김차장, 홍팀장, 정대리

# 그룹 생성 : 강사부, 교육부

# 그룹 소속 : 강사부에 이부장, 정대리

            교육부에 김차장, 홍팀장

#하드 디스크 : 1G 짜리 2개 생성

 - X 드라이브 문자 레이블 : 강사부

 - Y 드라이브 문자 레이블 : 교육부

 - 각 드라이브에 드라이브 이름으로 .txt 파일 생성

# X 드라이브 공유 

 - 강사부 모든 권한, 교육부 읽기 권한

# Y 드라이브 공유

 - 교육부 모든 권한, 강사부 읽기 권한

1. X 드라이브 할당량 100M 소프트 타입으로 설정 후 할당량 보고서 생성(임계값30%)

2. Y 드라이브 할당량 200M 하드 타입으로 설정 후 yahoo.bat 스크립트 실행(임계값10%)

 - yahoo.bat 스크립트 저장 경로 : C:\

 - yahoo.bat 스크립트 동작 내용

 # 바탕화면에 큰일입니다.log라는 파일로 날짜와 시간정보를 내용에 찍는 스크립트


확인 방법 : 

1. 교육부 계정인 김차장, 홍팀장 계정으로 X 드라이브 접속 후 강사부.txt 파일 이름 변경

시도시 차단되면 성공, 파일 생성 시도시 차단되면 성공.

2. 강사부 계정인 이부장, 정대리 계정으로 X 드라이브 접속 후 파일 생성시 차단 안 되면 성공,

30M 이상의 파일 업로드 후 보고서 생성되면 성공.

3. 강사부 계정인 이부장, 정대리 계정으로 Y 드라이브 접속 후 교육부.txt 파일 이름 변경

시도시 차단되면 성공, 파일 생성 시도시 차단되면 성공.

4. 교육부 계정인 김차장, 홍팀장 계정으로 Y 드라이브 접속 후 교육부.txt파일 이름 변경

시도시 차단 안 되면 성공, 20M 이상의 파일 업로드 후 바탕화면에 큰일입니다.log파일

생성되고 로그파일 내용에 날짜와 시간정보가 있으면 성공..




[Tip]


1. 그룹에 사용자 넣을 때 ; 으로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2. yahoo.bat : echo [%date%] %time% >> %systemdrive%\Users\%username%\Desktop\큰일납니다.log

        (혹은 상대경로 적지 말고 할당량 편집에서 명령 - 작업디렉터리 를 특정 디렉터리로 지정해도 된다.)

                => 실습 중 작업디렉터리 및 상대경로 미지정 했을 때 성공.. 이유는 모름

3. bat 파일 실행 시(교육부 할당량 만들 때) 명령 - 명령보안 - 로컬시스템 으로 지정

4. 할당량 수정 시 할당량 항목 우클릭 - 피크 사용 다시 설정 실행




And


Mac 에서 쇼핑몰 결제하기

|


나는 윈도우 익스플로러, Chrome, safari 의 북마크를 icloud를 통해 연동해서 사용한다.


또한 Mac 에서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Chrome을 이용한다.


아래 방법은 Chrome을 기준으로 적었지만 Safari 에서도 개발자 도구를 이용하면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



※ 이 방법은 모바일 결제가 가능한 쇼핑몰에서만 적용 가능하다.


1. 웹서핑을 통해 충분한 쇼핑 후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장바구니에 넣는다.


2. 오른클릭 - 요소 검사 혹은 개발자 도구 항목을 통해 개발자 도구 페이지로 진입한다.


3. 개발자 도구 메뉴 중 좌측 상단에 휴대폰 모양의 아이콘이 있으며 그 아이콘을 눌러 아무 휴대폰으로 웹을 본다.

    (나의 경우는 아이폰으로 봄)


4. 장바구니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여 모바일 환경으로 결제를 진행한다.

    휴대폰 화면의 사이즈를 키워 큰 화면으로도 볼 수 있다.)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개발자의 mac 셋팅  (0) 2015.09.17
MAC에 GNS3 1.2.1 설치  (0) 2015.04.07
And


MAC에 GNS3 1.2.1 설치

|


Windows 에서는 설치할 것도 많고 복잡했는데 Mac은 설치가 깔끔해서 기분이 좋다.



1. gns3.com - downloads 에서 gns 최신 버전 다운 받아 설치 (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


2. gns3.com 아래쪽 Appliances에 있는 GNS3 IOU VM 다운로드


3. virtualbox.org 에서 virtualbox 최신 버전 다운 받아 설치


4. GNS3 IOU VM 에 있는 virtualbox 이미지를 실행하여 로그인. (id / pw : root / cisco)

    (이미지 불러올 때 모든 네트워크 카드의 MAC 주소 초기화 체크, Nework 설저은 NAT 혹은 Bridge 모드로 설정)


5. ifconfig 명령어로 ip 주소 확인. VMware 에서 나올 때에는 Command 버튼 누르면 됨


6. safari 혹은 다른 웹 브라우저로 http://확인한_리눅스ip:8000/upload 에 접속하여 VM 에서 돌릴 Switch 이미지 업로드

    (Switch 이미지는 개인이 다운로드 하여 업로드 해야 함. 웹 페이지에 나오는 주소는 추 후 필요하니 브라우저 닫지 말것)


7. GNS3 실행하여 GNS 설정을 위해 New project는 Cancel


8. 상위 메뉴 중 GNS3 - Prefences (혹은 Command + , )


9. GNS3 server - Hostbinding 에 VirtualBox의 Network 설정을 Bridge 로 했으면 127.0.0.1을, NAT로 했다면 해당 Network ID + 1 을 입력.

   - 리눅스의 ip의 마지막 ip주소 단위를 1로 지정함. ex)192.168.56.1


10. GNS3 server - Remote servers 에 host : 리눅스 ip, port : 8000 tcp 로 입력


11. Dynamips - IOS routers 에는 Mac 상에서 로드할 장비들의 이미지 업로드

     (장비들의 IOS는 본인이 직접 찾아야 함)


12. IOS on UNIX - General settings - Path to IOURC 에 IOURC.txt 라는 Serial 정보가 담긴 텍스트 파일 지정해야 한다.

     (역시 이 파일은 본인이 직접 찾아야 함. 라이센스에 관련된 파일임)


13. IOS on UNIX - IOU devices - New 에서는 VirtualBox 상에서 돌아갈 장비들의 이미지 경로를 입력해야 한다.

     6번 단계에서 띄워 놓은 아래쪽 주소 (/home/gns3~~)을 통째로 복사하여 IOU image 란에 붙여넣는다.


14. 이렇게 장비들에 대한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GNS3 을 이용한 실습을 진행할 수 있다.




[Trouble Shooting]


GNS server 가 1.2 이기 때문에 프로젝트에서 장비 사용이 되지 않는 경우

리눅스 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서버를 업그레이드 해준다.


# pip3 install gns3-server==1.2.1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개발자의 mac 셋팅  (0) 2015.09.17
Mac 에서 쇼핑몰 결제하기  (0) 2015.04.07
And